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읍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읍시의회는 2014년에 실시되었으며, 정읍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를 다룬다. 선거 결과, 새정치민주연합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 지역구 선거 결과와 비례대표 선거 결과를 포함하며, 새정치민주연합이 비례대표 2석을 얻는 등 당시 정당별 득표율과 당선자 현황을 보여준다.
wikitable
2. 구성
2. 1. 의원 정수
2. 2. 의장단
3.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정읍시 가선거구 신태인읍, 북면, 정우면, 감곡면 3 정읍시 나선거구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2 정읍시 다선거구 입암면, 소성면, 연지동, 농소동 2 정읍시 라선거구 태인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2 정읍시 마선거구 내장상동 2 정읍시 바선거구 수성동, 장명동 2 정읍시 사선거구 시기동, 초산동, 상교동 2
3. 1. 선거구 목록
wikitable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정읍시 가선거구 | 신태인읍, 북면, 정우면, 감곡면 | 3 |
정읍시 나선거구 |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 2 |
정읍시 다선거구 | 입암면, 소성면, 연지동, 농소동 | 2 |
정읍시 라선거구 | 태인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 2 |
정읍시 마선거구 | 내장상동 | 2 |
정읍시 바선거구 | 수성동, 장명동 | 2 |
정읍시 사선거구 | 시기동, 초산동, 상교동 | 2 |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4년)
2014년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정읍시의회는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였다.== 지역구 선거 결과 ==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정읍시 가선거구 | 이익규 | 새정치민주연합 | 2,232 | 23.50% |
정읍시 가선거구 | 김철수 | 새정치민주연합 | 2,227 | 23.45% |
정읍시 가선거구 | 최낙삼 | 새정치민주연합 | 2,178 | 22.93% |
정읍시 나선거구 | 이복형 | 무소속 | 1,581 | 25.21% |
정읍시 나선거구 | 고경윤 | 새정치민주연합 | 1,389 | 22.15% |
정읍시 다선거구 | 정병선 | 새정치민주연합 | 3,314 | 40.96% |
정읍시 다선거구 | 안길만 | 새정치민주연합 | 3,020 | 37.33% |
정읍시 라선거구 | 김승범 | 새정치민주연합 | 2,560 | 34.17% |
정읍시 라선거구 | 김재오 | 무소속 | 1,844 | 24.61% |
정읍시 마선거구 | 이도형 | 무소속 | 4,082 | 42.20% |
정읍시 마선거구 | 유진섭 | 새정치민주연합 | 3,517 | 36.36% |
정읍시 바선거구 | 박일 | 새정치민주연합 | 2,881 | 29.28% |
정읍시 바선거구 | 조상중 | 무소속 | 2,678 | 27.22% |
정읍시 사선거구 | 이만재 | 새정치민주연합 | 2,426 | 28.03% |
정읍시 사선거구 | 유천규 | 새정치민주연합 | 2,293 | 26.49% |
== 비례대표 선거 결과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style="background-color: #0064C8"| | 새정치민주연합 | 39,833 | 68.28% | 2 |
style="background-color: #E61919"| | 새누리당 | 10,336 | 17.71% | 0 |
style="background-color: #8B008B"| | 통합진보당 | 8,168 | 14.00% | 0 |
# | 새정치민주연합 |
---|---|
1 | 황혜숙 |
2 | 배정자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정당 투표 결과 새정치민주연합이 68.28%를 얻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이에 따라 2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배출하였다. 새누리당은 17.71%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비례대표 의원을 배출하지 못했다. 통합진보당 또한 14.00%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이는 당시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높은 지지율과, 진보 정당의 약세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4. 1. 1. 지역구 선거 결과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정읍시 가선거구 | 이익규 | 새정치민주연합 | 2,232 | 23.50% |
정읍시 가선거구 | 김철수 | 새정치민주연합 | 2,227 | 23.45% |
정읍시 가선거구 | 최낙삼 | 새정치민주연합 | 2,178 | 22.93% |
정읍시 나선거구 | 이복형 | 무소속 | 1,581 | 25.21% |
정읍시 나선거구 | 고경윤 | 새정치민주연합 | 1,389 | 22.15% |
정읍시 다선거구 | 정병선 | 새정치민주연합 | 3,314 | 40.96% |
정읍시 다선거구 | 안길만 | 새정치민주연합 | 3,020 | 37.33% |
정읍시 라선거구 | 김승범 | 새정치민주연합 | 2,560 | 34.17% |
정읍시 라선거구 | 김재오 | 무소속 | 1,844 | 24.61% |
정읍시 마선거구 | 이도형 | 무소속 | 4,082 | 42.20% |
정읍시 마선거구 | 유진섭 | 새정치민주연합 | 3,517 | 36.36% |
정읍시 바선거구 | 박일 | 새정치민주연합 | 2,881 | 29.28% |
정읍시 바선거구 | 조상중 | 무소속 | 2,678 | 27.22% |
정읍시 사선거구 | 이만재 | 새정치민주연합 | 2,426 | 28.03% |
정읍시 사선거구 | 유천규 | 새정치민주연합 | 2,293 | 26.49% |
4. 1. 2. 비례대표 선거 결과
wikitable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style="background-color: #0064C8"| | 새정치민주연합 | 39,833 | 68.28% | 2 |
style="background-color: #E61919"| | 새누리당 | 10,336 | 17.71% | 0 |
style="background-color: #8B008B"| | 통합진보당 | 8,168 | 14.00% | 0 |
# | 새정치민주연합 |
---|---|
1 | 황혜숙 |
2 | 배정자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정당 투표 결과 새정치민주연합이 68.28%를 얻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이에 따라 2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배출하였다. 새누리당은 17.71%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비례대표 의원을 배출하지 못했다. 통합진보당 또한 14.00%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이는 당시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높은 지지율과, 진보 정당의 약세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4. 1. 3. 전체 결과
wikitable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style="background:#006DD7"| | 새정치민주연합 | 11 | 2 | 13 |
style="background:#C0C0C0"| | 무소속 | 4 | - | 4 |
5. 주요 활동
5. 1. 조례 제정 및 개정
5. 2. 예산 심의 및 의결
5. 3. 행정사무감사
6. 비판 및 논란
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